해외 IB들의 '한국 경제 낙관론'…한·중 FTA가 전환점 되나

입력 2015-05-15 20:56   수정 2015-05-16 05:24

[ 김유미 기자 ] 기자들은 대체로 비관론자다. 빛보다는 그림자, 칭찬보다는 비판 거리를 찾는다. 그래서 독자들은 ‘신문 보면 소화가 안 된다’고 한다. 기자라고 특별히 다르진 않다(언론인의 평균 수명이 꼴찌라는 김종인 원광대 교수의 연구 결과와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

경제 기사에서도 미담은 드물다. ‘원화 강세로 수출전선엔 빨간불이 켜졌다’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활력을 잃어간다’ ‘미래 세대의 부담을 덜기 위한 개혁 논의는 표류 중이다’ 등등. 기사들은 대체로 일본식 저성장을 피해가기 어렵다는 결론으로 끝맺는다.

반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은 불황 속 희망을 찾는 데 열심이다. 의외로 한국에 대한 낙관론은 해외 투자은행(IB)에서 더 자주 나온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1분기 경제성장률(전기 대비 0.8%)에 대해 해외 IB 상당수는 긍정적이었다. 모건스탠리 등은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0.6%)를 웃돌았을 뿐 아니라 1분기 국내 수요 증가폭이 2012년 이후 최고치인 1.6%에 달했다”며 1분기를 저점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봤다. 국내 언론들이 ‘또 0%대 성장’이란 암울한 제목을 단 것과 대조된다. 증권사 관계자는 “IB에서 각국을 담당하는 분석가들은 세계 투자자에게 현지 시장의 유망함을 알려야 하는 입장”이라며 “장밋빛 전망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입장은 다르지 않다. 돈을 쥔 투자자들은 ‘코스피지수 3000시대’ ‘10년에 한 번 오는 활황’ 같은 이야기에 여전히 끌린다.

최근 신한금융투자는 2분기 주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야말로 큰 기회”라고 역설했다. 유럽의 강대국으로 자리를 굳힌 독일처럼 한국이 변신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독일의 생산가능인구는 1998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일본이 1995년부터였으니 거의 비슷한 시점에 저출산 고령화를 겪은 것이다.

이후 일본이 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한 반면, 독일은 재도약에 성공했다. 1999년 유로존 출범 이후 독일의 경상수지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4.2%(1998년)에서 39%(2014년)로 급증했다. 국내 수요가 고령화로 꺾이자 해외 수요에서 성장 기회를 찾은 것이다.

한국도 독일과 양대산맥을 이루는 수출강국이다. 금융위기 이후 원화 약세, 기업경쟁력 강화에 힘입어 경상수지 흑자는 매년 기록을 경신했다. 그런데 흑자 규모가 커지면 원·달러 환율이 내려간다. 수출업체들이 번 달러가 외환시장에 풀리면 원화 가치가 뛸 수밖에 없다. 외환당국이 아무리 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여도 환율 하락 자체를 막긴 어렵다. 최근 엔저(低)까지 맞물리면서 수출이 뒷걸음질치기 시작했다.

독일은 주변국과 똑같은 유로화를 쓰니까 환율 걱정을 할 필요가 없었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은 “한국이 중국과 FTA를 맺으면 비슷한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의 무역수지 흑자가 한국보다 더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의 외화보유액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20% 늘어났다. 한국(6%)보다 훨씬 빠르다.

따라서 두 국가가 교역할 때 원화보다는 위안화의 강세 압박이 더 크다.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중국과 교역량을 늘릴수록 한국은 환율 걱정을 덜게 된다는 논리다. 곽 연구위원은 “독일에 유로존은 사실상 내수시장이 됐다”며 “한국 역시 중국을 내수시장으로 삼으면 독일처럼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수출과 환율 걱정에서 자유로워지는 날이 정말 올까. 낙관론에는 늘 많은 전제가 따른다. FTA의 실질적인 이해가 맞아떨어져 비준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여러 변수가 있다. 실질적인 효과를 볼 때까지 수출기업들이 버틸 수 있을 것인가도 문제다. 그런데도 요즘 같은 때는 시장의 낙관론에 일단 귀를 기울이게 된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